물가2 2020년 하반기 일본 상사 주식을 매입한 버핏, 몇 수 앞을 보았나 버핏은 2020년 하반기 미쓰비시상사 등 일본의 대표적인 상사 주식을 매입했다. 해당 기업들의 공통점은 PER이 5 미만으로 굉장히 낮았으며, 배당수익률은 3~5% 이상으로 굉장히 준수하였다. 그러나 버핏이 상사 주식을 베팅한 이유는 단순히 PER과 배당수익률 때문만은 아니었다. 배당은 덤이고, 실제로는 물가 상승에 베팅했던 것이었다. 그러나 버팅이 상사주식에 베팅했던 당시에는 CPI가 굉장히 낮았었기 때문에 이렇게 물가 상승이 크게 올 것이라 상상했던 사람이 적었다. 그러나 2021년 하반기부터 실제로 물가는 크게 폭등했고, 러-우 전쟁으로 인해 2차적으로 물가가 폭등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버핏은 인플레이션은 기생충이라고 표현했으며, 인플레이션 시대에 현금을 쓰는 회사가 아닌 벌어들이는 회사에 투자해야.. 2023. 1. 8. 원자재 가격 하락은 한국 시장에 유리하게 작용 (무역수지와 WTI 추이 비교) 우리나라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악화되어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 산업 구조 자체가 원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한 후 판매하는 중간재적인 성격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가 상승을 판가로 전가시키기 어려운 구조일 경우 적자가 심화될 수 밖에 없는데,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이 되는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수요/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경기 악화와 함께 물가 상승이 발생하면 무역 적자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반면, 원유나 광물 가격이 하락할 경우 무역 수지가 급격히 개선되는데, 2015년~2017년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 당시에는 달러화의 강세와 석유 소비량의 감소 때문에 원유 가격이 급락했는데, 대체적인 경제 상황이 심각하게 나빠지지 않았던 국면이었기 때문에 원가 하락에 따른 판가 하락.. 2023. 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