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1 원자재 가격 하락은 한국 시장에 유리하게 작용 (무역수지와 WTI 추이 비교) 우리나라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악화되어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 산업 구조 자체가 원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한 후 판매하는 중간재적인 성격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가 상승을 판가로 전가시키기 어려운 구조일 경우 적자가 심화될 수 밖에 없는데,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이 되는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수요/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경기 악화와 함께 물가 상승이 발생하면 무역 적자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반면, 원유나 광물 가격이 하락할 경우 무역 수지가 급격히 개선되는데, 2015년~2017년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 당시에는 달러화의 강세와 석유 소비량의 감소 때문에 원유 가격이 급락했는데, 대체적인 경제 상황이 심각하게 나빠지지 않았던 국면이었기 때문에 원가 하락에 따른 판가 하락.. 2023. 1. 8. 이전 1 다음